소금은 생명이다 : 염분의 생리학적 중요성과 현대의 오해
소금은 생명이다 : 염분의 생리학적 중요성과 현대의 오해
  • 정대한 컬럼리스트
  • 승인 2024.06.13 23: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대한 대한물산 대표
정대한 대한물산 대표

염분, 즉 소금은 인류의 역사에서 중요한 자원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염분 섭취에 대한 많은 논란이 존재한다. 특히 고염식이 고혈압과 콩팥 문제를 유발한다는 주장이 널리 퍼져있다. 하지만 염분의 본래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단순히 염분을 제한하는 접근은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염분의 기능과 짠맛의 의미

염분은 우리 몸의 불필요한 노폐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짠맛은 바로 이 배출 기능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물기를 짜내듯이, 염분은 체내에서 불필요한 물기와 노폐물을 제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눈물, 소변, 땀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염분과 체내 노폐물 배출

염분은 우리 몸에서 중요한 소독제 역할을 한다. 불필요한 노폐물을 소변으로 배출시키는 것은 콩팥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이다. 염분이 부족하면 이러한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탈수와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콩팥은 염분을 여과하여 노폐물을 제거하는데, 염분이 충분해야 이 기능이 원활하게 작동한다.

현대의 염분 섭취 제한과 문제점

현대 사회에서 염분 섭취를 제한하는 주장은 고혈압과 콩팥 질환을 예방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이다. 그러나 염분을 과도하게 제한하면 오히려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고혈압은 심장의 박동수가 많아지는 현상인데, 이는 심장이 건강하다는 신호일 수 있다. 염분이 부족하면 심장 기능이 저하되어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

염분의 긍정적 효과

염분은 체내에서 여러 가지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한다. 첫째, 염분은 체온을 유지하고 몸을 따뜻하게 한다. 둘째, 염분은 혈액을 맑게 하고 순환을 촉진하여 몸을 부드럽게 만든다. 셋째, 염분이 충분하면 손발이 따뜻해지고, 염증이 생기지 않는다. 반대로 염분이 부족하면 손발이 차가워지고, 염증이 생기기 쉬운 환경이 조성된다.

류마티스와 염분 부족

류마티스는 자가면역질환으로, 염분 부족이 그 원인 중 하나일 수 있다. 염분이 부족하면 손발이 차가워지고, 이는 염증의 시작이 될 수 있다. 충분한 염분 섭취는 이러한 염증을 예방하고, 류마티스와 같은 질환을 줄일 수 있다.

화학적 첨가물인 맛소금, 꽃소금

맛소금은 주로 정제된 소금에 MSG(글루탐산 나트륨)와 같은 첨가물을 혼합하여 만든 제품으로 음식의 감칠맛을 높이기 위해 화학적으로 처리된 제품이다. 또한 꽃소금은 고운 입자를 가진 정제염으로, 소금 결정이 꽃 모양을 닮아 이름이 붙여졌다. 정제 과정에서 천연 미네랄이 제거되어, 단순한 NaCl로서의 기능만을 한다. 이들의 가장 큰 문제는 가공 과정과 첨가물이다. 정제 과정에서 소금에 포함된 천연 미네랄과 영양소는 제거되고, 대신 화학적 첨가물이 추가된다. 소금 본연의 영양적 가치를 떨어뜨리고, 건강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맛소금, 꽃소금은 전통적인 소금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이다.

염분은 단순히 짠맛을 제공하는 식재료가 아니라, 우리 몸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자양분이다. 현대 사회에서 염분 섭취를 과도하게 제한하는 것은 오히려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적절한 염분 섭취는 체내 노폐물 배출, 체온 유지, 혈액 순환 등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염분 섭취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접근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1, Brown, I. J., Tzoulaki, I., Candeias, V., & Elliott, P. (2009). Salt intakes around the world: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38(3), 791-813.

2, He, F. J., & MacGregor, G. A. (2009). A comprehensive review on salt and health and current experience of worldwide salt reduction programmes. Journal of Human Hypertension, 23(6), 363-384.

3, Strazzullo, P., D'Elia, L., Kandala, N. B., & Cappuccio, F. P. (2009). Salt intake, stroke, and cardiovascular disease: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BMJ, 339, b4567.

4, He, F. J., & MacGregor, G. A. (2009). A comprehensive review on salt and health and current experience of worldwide salt reduction programmes. Journal of Human Hypertension, 23(6), 363-384.

5, Brown, I. J., Tzoulaki, I., Candeias, V., & Elliott, P. (2009). Salt intakes around the world: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38(3), 791-813.

6, Strazzullo, P., D'Elia, L., Kandala, N. B., & Cappuccio, F. P. (2009). Salt intake, stroke, and cardiovascular disease: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BMJ, 339, b4567.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